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주식공부

PBR 이란? PBR 계산법, PBR 낮은 주식

by 일하기 싫은 별이 2022. 1. 12.
반응형

주식용어-PBR-썸네일

오늘은 지난 시간 BPS(주당순자산)을 공부하면서 이와 상당한 연관이 있는 PBR에 대해 공부를 해보겠다고 했었죠. 오늘은 약속대로 PBR 이란 무엇인지, 계산법은 어떻게 되는지 등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PBR 이란?

간단하게 말하자면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더욱 이것이 무엇인가 싶겠죠? 쉽게 설명하자면 지난 시간 배웠던 BPS는 1주당 순자산의 가치라고 말했었는데, 이를 현재 주가에서 나누면 나오는 비율을 PBR이라고 하는 겁니다. 

 

PBR 계산법

PBR(주가순자산비율) = 현재주가 ÷ 주당순자산(BPS)

PBR은 이렇게 현재주가에서 BPS를 나눈 비율이며, 유사품에는 PER(현재 주가에서 EPS를 나눈 것)이 있으니 헷갈리시면 안 됩니다. 아직 잘 이해가 안 되시는 분을 위해 문제를 하나 풀어보겠습니다.

 

 

문제) 지표상으로 봤을 때 더 좋은 기업은 어디일까요?  

1. 내돈더하기 기업의 현재 주가는 5천 원입니다. 그리고 주당순자산(BPS)은 5천 원입니다.

2. 주식 더하기 기업의 현재 주가는 12,000원입니다. 그리고 주당순자산(BPS)은 6천 원입니다.

 

네, 정답은 1번입니다. 1번 기업의 PBR은 1이며, 2번 기업의 PBR은 2입니다. PER이 1이라는 건 이 기업이 망해서 청산되었을 때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이 주가가 천 원이면 천 원 모두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PER이 2라면, 현재 주가가 2천 원인 주식이 망하면 그 반인 천 원밖에 돌려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PBR의 수치는 낮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PBR 낮은 주식은 무조건 오른다?

PBR은 일반적으로 1 이하면 수치가 낮은 종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주가에서 청산가치인 EPS를 나눈 비율이다 보니 낮으면 무조건적인 저평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어차피 1 이하만 돼도 내 가산 현재 주가보다 회사가 망해서 청산받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더 많은데? 생각할 것 뭐 있어? 당장 사야지! 란 생각을 하신다면 주식 계좌의 잔고가 반으로 쪼개 질 수도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PER이나 PBR이란 지표는 주식을 매수할 때 참고하셔서 봐야 하는 부분이긴 하지만 무조건 적인 수익을 얻기는 힘듭니다. 미래성장성이 있는 회사는 지표가 높을 수도 있는 부분이며, 이와 같은 지수가 낮더라도 앞으로의 미래가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른 지표들과 기업의 가치도 잘 판단하셔서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요점정리

PBR은 현재 주가에서 주당순자산을 나눈 것이며, 수치는 낮을수록 좋다. (일반적으로 1 이하) 그러나, 지표를 맹신하여 그것만 보고 판단하면 위험하니 주의하자. 그래도 한 번에 몰아서 PER, PBR 수치가 낮은 종목을 찾는 방법은 언제 한번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